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스피린 효과와 효능. 부작용 - 제대로 알고 먹자

by 연잼 2023. 6. 10.

일단 아스피린 효과와 효능, 부작용에 들어가기에 앞서 의학은 항상 변하고 흐릅니다. 과거에는 옳다고 여겨졌던 것이 나중에는 틀린 것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이 최신 정보에 맞추어 의사 등 전문가의 자문 아래 이해 득실을 따져 맞춤형으로 복용 여부를 결정하길 바랍니다.. 과거 20살 때 아스피린에 관심이 많아 의사 선생님께 "하루에 한알씩 아스피린을 먹어도 될까요?"라고 하니 친한 분이라서 강하게 말한 것도 있지만 그분은 "어린 나이인데 위장 망칠 일 있어? 50대에서 60대부터 가 좋아"라고 했습니다. (참고로 2023년 기준 USPSTF 미국 연방정부 자문기구에서는 아스피린 저용량 복용 권장 나이대를 기존 50~69세에서 40~59세로 10년 앞당겨 발표했습니다.)

 

그럼 자세히 아스피린의 효과와 효능, 부작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스피린 효과, 효능, 부작용

 

 

핵심부터 이야기 하자면 아스피린의 효능은 진통, 해열, 소염에 작용을 합니다. 나중에 추가적으로 혈전형성 예방에 도움을 준다는 것과 암에 도움이 된다고 하는데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스피린의 역사

 

아스피린 역사

 

재미 있는 이야기를 하나 해드리겠습니다. 아스피린 역사는 매우 오래됐습니다. 고대 시절 의학에 아버지라 불리는 히포크라테스는 사람들이 머리가 아프고 열이 날 때 버드나무껍질을 삶은 물을 마시고 호전되는 사례를 발견합니다. 그래서 버드나무껍질이 해열제로 특성이 있다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 후로 1750년대에 에드워드 스톤이라는 옥스퍼드 성직자가 가루로 만든 버드나무껍질을 테스트한 결과 말라리아와 관련된 발열 증상이 완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1763년에 발표합니다.

 

그 뒤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어 버드나무에 존재하는 분자는 라틴어 salix(버들나무)에서 유래 한 salicin으로 이 물질은 1828년에 분리되었습니다. 그리고 10년 후, 살리신이 살리실산으로 전환될 경우 훨씬 더 강력한 통증 완화 특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발견으로부터 연구가 진전되어 아스피린이 나오게 됩니다. 아스피린의 일반적 화학명은 살리실산의 아세틸 에스테르 형태인 아세틸 살리실산 입니다.

 

아스피린은 1897년 독일의 felix hoffman에 의해 가루약의 형태로 만들어져서 바이에르(bayer)라는 회사에 의해 판매를 합니다. 아스피린은 상품명이고 아세틸 살리실산은 화학명입니다.

 

아스피린의 효능

 

우리는 아스피린을 간단히 효능을 이야기하자면 진통, 해열, 소염을 말합니다. 

그런데 진통 해열제로 우리가 가장 많이 찾는 것이 바로타이레놀입니다. 

특이한 점이 스피린과 함께 대표적인 해열, 진통제이며 소염 효과는 없습니다.

그런데 타이레놀은 위장에 부담이 적은 게 장점입니다.

아세트아미노펜의 브랜드명으로 진통과 해열에 효과 가 있으며 처방전 없이 구입할 수 있는 일반의학품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아스피린과 타이레놀 비교

 

 

그리고 추가로 혈소판 응집과 혈액 응고를 유도하는 트롬복산 a2의 형성을 줄이는 것이며 이것이 아스피린의 심장 보호 효과가 발생하는 이유입니다.

 

아스피린은 고용량과 저용량에 따라 치료 목적이 다릅니다. 고용량은 열을 내리고(해열) 염증을 가라앉히는 (소염) 진통제로 쓰이고, 저용량은 혈전 생성을 예방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렇게 아스피린은 용량에 따른 효과가 다릅니다. 그 이유는 용량에 따라 약의 효과와 부작용을 비교하여 효과는 최대로, 부작용은 최소로 할 수 있는 용량을 설정한 것입니다.

 

 

아스피린 부작용

모든 약은 효과가 부작용 보다 더 크기에 사용합니다. 혈소판이 뭉치지 않으면 혈전도 안 만들어지지만, 한편으로 혈관에 문제가 생겨도 이를 제대로 보수하지 못하게 됩니다. 혈소판은 혈관 손상 시 혈액이 새는 것을 막는 지혈작용을 담당합니다. 혈전도 다친 혈관 부위를 막기 위해 달라붙은 혈소판이 덩어리 져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아스피린은 혈관 손상을 막는 혈소판과 혈전을 만드는 혈소판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 억제하게 됩니다. 이에 수술을 하게 되면 의사분들이 아스피린 같은 약물 드세요?라고 묻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그 외 위점막 손상, 천식 유발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에 복용하시길 권장합니다.